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B부동산 통계확인(주간시계열 보는법 정리)

부동산 투자를 하는 사람은 KB부동산 통계(주간시계열)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왜냐하면 주간시계열을 통해서 현재 지역별 부동산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보는법이 낮설고 어려웠지만, 계속 보다보니 눈에 잘 들어오고 있습니다.

내집마련을 계획중이거나 투자를 고민하는 분들은 KB부동산 주간시계열 보는법을

통해서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 보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상승을 논하거나 하락을 논하는 기사를 본 후에도 주간시계열을 한번 본다면,

뉴스 기사의 숨겨진 의미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https://kbland.kr/map?xy=37.5205559,126.9265729,17

 

KB부동산 - 아파트 시세, 실거래가, 분양, 빌라시세, AI예측시세, 자산관리

 

kbland.kr

KB부동산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좌측 상단 메뉴를 클릭합니다

'KB통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KB부동산 주간시계열은 월요일에 업데이트가 됩니다.

현재 기준 가장 최신 자료인 20220328_주간시계열 엑셀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KB부동산 주간시계열 Data 분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붉은색 : 상승

파란색 : 하락

 

다운로드를 한 엑셀파일의 가장 처음 보이는 시트입니다.

 

전국기준 아파트의 경우 지역별로 매매가 상승/하락

전세가 상승/하락이 다르게 발생합니다.

 

확실히 대구광역시는 신규 물량이 많기 때문에 매매가 및 전세가가 하락중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역시 공급은 시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내집마련을 하실분들은 오히려 매매가 하락중인 곳이 기회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장기적으로 봤을 때 부동산가격은 우상향이기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매매가격증감률 시트를 보겠습니다.

서울기준입니다. 작년 7월부터 12월까지 서울 대부분 지역은 노란색 혹은

붉은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상승의 색깔입니다.

 

그러나, 올해(2022년도) 1월부터는 색상으로 표시가 어려울 정도로 가격변동이 적습니다.

아마도 대출규제에 따른 거래절벽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대로 대구의 경우에는 일부 지역에서 파란색(하락)이 보입니다. 

대규모 공급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입주장이 마무리 되면 가격은 보통 회복세를 보입니다.

 

시트 오른쪽 인천광역시의 경우 작년한해는 굉장히 부동산 가격이 뜨거웠습니다.

붉은색의 농도가 진할 수록 매매가격 상승률이 높다는 뜻입니다

 

이번에는 아파트 전세가격증감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서울의 경우 금년도부터 일부 지역은 전세가 하락이 보입니다.

그러나 이 정도 통계는 하락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월세통계는 나오지 않습니다만, 많은 전세계약이 반전세로 갱신되는 부분까지 반영이 되지는 않습니다.

예를들어 기존의 전세가 3억이었는데, 전세금액이 올라서 5억이 되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작년에 대부분 은행에서 전세대출이 제한되어 증액된 전세금 대출이 어렵게 되자

차액 2억원에 대해서 60만원의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즉, 전세 보증금 3억의 계약이 갱신되어 보증금 3억 / 월세60만원으로 변경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통계에는 전세금액 변동이 없는 것으로 잡힐 것입니다.

통계자료를 보더라도 우리는 항상 통계의 오류를 생각해야 합니다.

 

 강원도는 현재 지속적으로 전세금액이 상승하는 지역입니다.

이러한 지방의 경우에는 서울에 대비하여 절대적인 전세금액 단위가 낮기 때문에

증액이 된다 하더라도 반전세로 전환보다는 증액된 금액을 세입자가 지불하는 상황일 것입니다.